박물관
상세설명
요약정보
산청 율곡사에 있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본존인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개요
산청 율곡사 목조 아미타삼존불좌상 (山淸栗谷寺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산청 율곡사에 있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본존인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이상의 사람의 키만 한 불상으로서, 자세는 등을 세우고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의 반가부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모습이다.
아미타여래상은 머리는 육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표현하였고, 나발의 표현이 촘촘한 편이다. 얼굴은 방형에 가깝고, 턱선을 비교적 둥글게 처리하였으며,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서로 조화를 이룬다. 짧은 목 아래로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를 뚜렷이 표현하였다. 옷은 양어깨를 모두 덮은 두꺼운 대의(大衣)를 입었고, 가슴 아래로 수평의 군의(裙衣)자락이 보인다. 옷주름은 어깨와 소매, 반가부좌한 발목 아래를 중심으로 간략히 표현되었고 그 흐름이 불신을 따라 매우 자연스럽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고 제1지와 제3지를 맞대고 있는데 그 사이에 작은 구슬을 쥐고 있다. 오른팔은 구부려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채 어깨부위까지 들어올린 상태이고, 왼손은 반가부좌한 오른발 위에 얹고 있다.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자세•손모양•얼굴•옷차림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본존인 아미타여래상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단, 두 보살상은 장신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얼굴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같고, 다만 본존불에 비해 조금 길고 갸름한 편이다. 옷차림은 대체적으로 본존불과 같으나, 관음보살상은 오른쪽 어깨에 반쯤 걸친 소위 반단형식이며, 등 쪽에는 왼쪽 어깨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보이는데, 이러한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대세지보살상의 경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규모는 1m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감 있는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삼존불의 특징이 거의 일치하여 같은 시기에 동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복장 유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조선전기에 제작된 작품이라 추정된다
[전문설명]
이 목조아미타삼존불의 도상은 가운데 본존이 아미타여래좌상, 좌협시는 관음보살좌상, 우협시는 대세지보살좌상으로 구성된 아미타삼존불이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이상의 등신불로서, 자세는 등을 세우고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의 반가부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모습이다.
아미타여래상은 양손을 별조하여 끼웠고, 제1지와 제3지를 맞대고 있는데 그 사이에 작은 구슬을 쥐고 있다. 이 점은 삼존불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오른팔은 구부려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채 어깨부위까지 들어올린 상태이고, 왼손은 반가부좌한 오른발 위에 얹고 있는데, 손가락이 길고 손금이 뚜렷하게 각인되어 있다. 머리는 육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표현하였고, 나발의 표현이 촘촘한 편이다.
얼굴은 방형에 가깝고, 턱선을 비교적 둥글게 처리하였으며,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서로 조화를 이룬다. 특히 인중과 그 주변이 비교적 양감적이고, 백호의 표현을 생략하고 있다. 짧은 목 아래로 삼도(三道)를 뚜렷이 표현하였다. 착의법은 두꺼운 통견식 대의(大衣)를 입었고, 가슴 아래로 수평의 군의(裙衣)자락이 보이는데 바깥으로 조금 접었다. 의습선은 어깨와 소매, 반가부좌한 발목 아래를 중심으로 간략히 표현되었고 그 흐름이 불신을 따라 매우 자연스럽다. 배면 표현은 뒷 목덜미에서 접은 대의 깃을 표현만 보일 뿐 다른 의습선의 표현은 없다.
좌협시 관음보살상과 우협시 대세지보살상은 자세, 수인, 얼굴, 착의법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본존인 아미타여래상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단, 양 협시보살상은 장신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머리에는 보관 턱을 마련하여 보관을 얹은 형태인데, 보관은 몸틀에 여러 장식 모티브를 나무꽂이로 연결하여 꽂은 형태이다. 보관 중앙에 봉황, 그 주변에 서운, 화염형 보주, 화형(花形) 장식이 달려 있다. 보관 장식의 일부는 몸틀에서 해체되어 불단 주위에 흩어져 있는 상태이다. 보관 내에 높은 발계(髮계)가 보이는데 발계 정수리에서 머리카락을 한번 둘러 묶어 위로 곧게 두가닥으로 나뉜 뒤, 뒤쪽으로 말아 마무리하였다. 보관 턱 아래로 드러난 머리카락과 보발을 세밀하게 표현하였고, 보발은 어깨 위로 세가닥이 내려오는데 얼굴 측면에서 귓볼을 돌아 내려오는 두 가닥과 귀 뒤를 돌아내려오는 한 가닥이 만나 어깨 위에서 원을 그리며 세 가닥의 보발이 상당히 길게 흘러내리게 묘사하고 있다. 안면부 표현은 아미타불상과 같고, 본존불에 비해 조금 길고 갸름한 편이다. 착의법은 대체적으로 본존불과 같으나, 좌협시 관음보살상은 오른쪽 어깨에 반쯤 걸친 소위 반단형식이며, 배면에는 왼쪽 어깨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보이는데, 이러한 착의표현은 본존 아미타불상과 좌협시 대세지보살상의 경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규모는 1m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감 있는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삼존불의 특징이 거의 일치하여 같은 시기에 동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복장유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조선전기에 제작된 작품이라 추정된다.
문화재지정 현황
문화재구분 | 지정번호 | 지정일 | 제작연대 | 시대 |
---|---|---|---|---|
도지정문화재 | 373호 | 2002.8.14 | 조선시대 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