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학이란?

인간은 누구나 건강하기를 원한다
이런 건강에 관한 인간의 소망은 모든 사람이 기본적으로 갖는 권리라고 할 수 있다.

건강에 관한 정의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해왔다. 한때는 막연하게 병에 걸리지 않거나 아프지 않으면 무조건 건강한 것으로 여겼으나 1950년대 세계보건기구(WHO) 헌장에서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평안한 상태'를 건강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요즘은 좀더 넓은 의미에서 '개인이 모든 차원에서 평안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의 내적, 외적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각 개인의 사회적인 역할과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 라고 말할 수 있다.

한의학은 이렇듯 건강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지속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겨났다고 할 수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의학은 크게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한의학과 서양의학은 성립과 발달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서양의학은

질병의 원인을 주로 외부적인 요인에서 찾는다.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사람의 몸에서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치료방법도 이를 없애는데 노력해 왔다. 그러나 한의학은 질병의 발생 요인을 주로 사람의 기운 즉 생명의 원리가 되는 정기(正氣)가 허약해져서 사기(邪氣)를 방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정기를 보강하는데 주로 힘을 써웠다.
한의학에서는

주로 사람의 몸이 병균에 저항하는 능력이 약해져서 병에 걸리는 것으로 생각한다.

예를 들면, 감기의 경우 아무리 병균이 몸에 침입하였더라도 신체가 튼튼하여 그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몸이 약하여 저항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아무리 작은 병균이라 하더라도 인체에 침입하여 결국은 병에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병에 걸리는 것을 단순히 몸 어느 일부분에만 한정된 것으로 보지 않고, 몸 전체가 생리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인체 내의 음(陰)과 양(陽)이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의학은 사람의 질병을 살펴봄에 있어 그 질병관(疾炳觀)이 서양의학과는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치료법 또한 매우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서양의학이 한 가지 질병에 대해 매우 부분적이며 눈에 보이는 결과만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에 비하여 한의학은 몸을 한 우주로 보고 그에 관해 적응하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법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변함없이 한의학이 국민에게 사랑받고 있는 이유도 바로 이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