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과 중국의학의 차이점

버섯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동의보감(東醫寶鑑) oriental medicine

의학서적이 우리나라에서 거래된 최초의 기록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있다. 이 책을 살펴보면 '고구려 평원왕 3년에 중국 오나라 사람 지총(知聰)이 내외전(內外典), 약서(躍書) 등 164권을 가지고 고구려를 거쳐 일본에 귀화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후로 한의학은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러 의학을 단순히 수입만 하던 분위기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형편에 맞는 새로운 의학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론적인 면에서는 좀처럼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하지만 약재와 처방에서는 이후 조선시대에 가서 한의학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한의학이 매우 비약적인 발전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고려시대 의학을 종합 정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의학이론을 정립하여 중국에 견줄만한 큰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동의보감(東醫寶鑑)'

대표적인데, '동의보감'은 그 중 중국에서 가장 발달되었다고 할 수 있는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이론을 받아들이는 등 역대 의술에 관한 책들을 총괄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편집되었다. 동의보감이 완성되자 모두들 그토록 뛰어나고 보기에 편리한 서적이 일찍이 없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그 성과는 외국에 수출되는 것으로 빛을 발하기도 하였다.

동의보감은 단순한 의학 서적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전의 의학은 중국 의학을 그대로 본떠서 행하였거나 중국 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국산 약재와 우리 기술을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의보감' 이후의 의학은 명실상부한 우리 의학, 한의학(韓醫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동의(東醫-즉 조선을 의미) 라고 책이름을 지은 것만 보더라도 매우 주체적인 인식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900년에 완성되어 사람마다 병의 가는 길이 있음을 밝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도 그 이론이 매우 독창적이다. 병의 원인, 발생, 경과에 대한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고 있어서, 우리의 의학이 자주적인 한의학임을 확고히 하고 있다.
기존에 한의학(漢醫學)이라고 하던 것을 한의학(韓醫學)이라고 명칭을 변경한 것은 1986년도에 이루어진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은 단순히 명칭만을 새롭게 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고대로부터 부단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의학은 이제 한의학(韓醫學)으로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다.